표준점수5 지표의 표준화 7 : 주가 - 힘의 공식 ( 수식 공개 ) - 퍼플의 균형복원 트레이딩 안녕하세요? 주식하는 개발자 퍼플입니다. 오늘은 과학적인 원리를 주식 차트 분석에 적용해 보는 색다른 도전을 해보려고 합니다. 물리학의 기본 원리 중 하나인 힘의 공식이 주식 시장에서 어떤 도움이 될 수 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주식 차트 분석에 익숙한 시청자 분들도 이번 동영상을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기술적 지표를 바라볼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과학적 이론을 활용하여 시장의 흐름을 분석하고 새로운 지표를 표준화하여 상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함께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과학의 세계와 주식 시장이 만나는 이 흥미진진한 여행을 함께 떠나볼 준비가 되셨나요? 그럼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리고 오늘의 주제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1. 힘의 공식 힘의 공식은 F = m * a입니다. 여기서 F는 힘.. 2023. 7. 8. 지표의 표준화 6 : 절대지표 주가의 표준화 ( 수식 공개 ) - 퍼플의 균형복원 트레이딩 안녕하세요? 주식하는 개발자 퍼플입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절대지표인 주가의 표준화를 해볼 것입니다. 오늘도 역시 새로운 지표를 생성해볼건데요 오늘 표준화를 통해서 생성하는 지표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이격도와 아주 유사한 개념이지만 생성된 지표를 비교해보면 아주 다른 느낌을 받으실 것입니다. 이격도는 이동평균을 기준으로 이미 표준화된 상대적 척도로서의 자격을 갖춘지표입니다. 이격도 지표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주가와 이동평균선 사이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입니다. 이렇게 이격도 지표는 시장의 이격도와 종목의 이격도 또는 서로 다른 종목간의 이격을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상대적 척도로서의 지표가 가지는 가장 큰 역할인것이죠 오늘은 이격도 지표와 유사한 개념의 표준화를 사용하지만 확실히 .. 2023. 7. 5. 상대적 척도 지표의 표준화 5 : 표준화 된 OBV 지표 ( 수식 공개 ) - 퍼플의 균형복원 트레이딩 안녕하세요? 주식하는 개발자 퍼플입니다. 최근 글은 상대적 척도라는 관점에서 지표의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이미 많은 지표들이 표준화를 거쳐 사용되고 있지만, 표준화의 방법에 따라 나타나는 특성을 이해하고, 특히 절대지표의 경우 표준화를 통해 상대적인 지표로 재탄생시킬 수 있음을 알리고자 합니다. 또한 새롭게 표준화된 상대적인 척도로서의 지표를 다양한 패턴과 시각에서 이해하고자 합니다. 오늘은 다섯 번째 시간으로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OBV 지표를 표준화하고, 그 활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생성할 표준화된 OBV는 기존의 OBV와 겹쳐서 차트에 올려두고 사용하면 효과적일 것입니다. 끝까지 읽어주시기 부탁드리면서, 오늘의 주제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1. OBV란? 거래량.. 2023. 7. 2. 지표의 표준화 4 : 표준화된 MACD ( 수식공개 ) - 퍼플의 균형복원 트레이딩 안녕하세요? 주식하는 개발자 퍼플입니다. 최근에는 표준화를 활용한 상대적 척도라는 관점에서 지표의 표준화를 주제로 영상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사실 말이 거창하지 상대적 척도라는 개념은 우리가 항상 사용하는 개념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주가 등락률을 살펴보면 코스피 지수가 0.5% 상승하고 삼성전자가 1% 상승했다면,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표준화된 주가 등락률인 상대적 척도로 코스피 지수와 삼성전자의 성과를 직접 비교할 수 있습니다. 표준화는 기준을 통일해서 데이터의 범위를 일정하게 변경하여한 후 상대적인 비교를 가능하게 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와 같은 사실을 인지하고 사용하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경우의 차이입니다. 절대 지표를 표준화 없이 생성한 지표는 대표적으로 이동평균, MACD 등이 있습니.. 2023. 6. 28. 지표의 표준화 3 : 표준화된 거래량 지표 2 - 에너지 ( 수식공개 ) - 퍼플의 균형복원 트레이딩 안녕하세요? 주식하는 개발자 퍼플입니다. 표준화는 일종의 정규화로서, 데이터의 상대적인 크기 차이로 인한 편향성을 제거하고 여러 데이터를 서로 비교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범위를 일정하게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표준화를 통해 생성된 상대적 척도로서의 지표는 서로 다른 주식이나 시장 등을 합리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영역에서 널리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좀 더 다양한 표준화 방법을 알아보고, 신선한 아이디어를 접목한 거래량 지표를 직접 생성해 보고 그 활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제가 직접 설계하고 개발한 균형복원 트레이딩 시스템 퍼플의 프리모를 기능제한 없이 무료로 배포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보기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끝까지 읽어.. 2023. 6.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