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94 새로운 지표 개발하기 3 : 새로운 시장온도계의 설계 목차 안녕하세요? 주식하는 개발자 퍼플입니다. 1. 공감하기 투자자가 시장의 분위기나 흐름을 이해하는 것은 바다에서 항해를 하는 선장이 바람의 방향과 파도의 흐름을 알아차리는 것과 비슷할 것입니다. 1). 안전한 항해 선장이 바람과 파도를 정확히 이해하면, 배는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투자자나 트레이더가 시장의 흐름을 정확히 이해하면, 그들의 투자는 안전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면 투자의 위험을 줄이고, 예상치 못한 손실로부터 자신의 자산을 보호할 수 있겠지요. 2). 바람을 이용한 빠른 항해 선장은 바람의 방향에 따라 돛을 조정하여 더 빠르게 항해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투자자나 트레이더는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2023. 11. 7. 새로운 지표 개발하기 2 : 시장 온도계의 표준화 목차 안녕하세요? 주식하는 개발자 퍼플입니다. 1. 공감하기 오늘은 새로운 지표 개발하기 두 번째 시간으로 지난 시간에 생성했던 알렉산더 엘더의 시장 온도계를 표준화하는 작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미 눈치 채셨겠지만 기존의 지표를 응용해서 새로운 지표를 만드는 방법중 하나가 바로 표준화 입니다. 시장 온도계 지표는 시장온도계와 시장온도계의 이동평균으로 구성됩니다. 오늘은 시장 온도계의 이동평균을 기준으로 표준화를 진행할 것입니다. 지표의 표준화는 다양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그 중 대표적인 장점은 시장과 종목, 업종과 종목, 종목과 종목 , 지표와 지표간의 상대적인 비교를 가능하게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여 다양한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변덕스런 시장 상황에 로버스트하게 대.. 2023. 11. 3. 새로운 지표 개발하기 1 : 알렉산더 엘더의 시장 온도계 목차 안녕하세요? 주식하는 개발자 퍼플입니다. 1. 공감하기 이 글은 알렉산더 엘더의 저서 '나의 트레이딩 룸으로 오라'의 일부분을 참조 및 인용하고 있음을 알립니다.오늘부터 시장에서 인정 받고 있는 지표들을 분석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표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주제를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그 첫 순서로 알렉산더 엘더의 저서 '나의 트레이딩 룸으로 오라'에서 언급된 '시장 온도계'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시장 온도계는 우리가 시장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는 도구입니다. 상상해보세요, 우리 모두가 여행객이라면, 날씨를 확인하지 않고 여행을 계획하진 않겠죠? 비슷하게, 트레이더들은 시장의 '날씨', 즉 현재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를 사용합니다. 그 중 하나가 .. 2023. 10. 31. 시장 변동성과 심리적 반응 : 투자자의 내면을 드러내다. 목차 안녕하세요? 주식하는 개발자 퍼플입니다. 1. 공감하기 주식시장은 다양한 이유로 크고 작은 변동을 동반합니다. 가격의 상승과 하락은 시장 참여자들에게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러한 영향은 투자자들의 심리에도 자극을 주는 것이지요. 특히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 투자자들은 과도한 감정 변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시장이 상승할 때는 유포리아 또는 과도한 낙관주의에 빠질 수 있고, 시장이 하락할 때는 불안과 공포를 느낄 수 있습니다.시장은 항상 반복해서 오르고 내립니다. 이럴 때마다 감정에 기복이 생기면 올바른 투자를 할 수 없겠지요.특히 변동성이 커지는 경우 시장 패닉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시장 패닉은 대규모의 투매로 인한 지수의 급락이 투자자들을 패닉에 빠지게 하고, 이로 인해 또 다.. 2023. 10. 26. 지표의 표준화 10 : 종목의 사계,퍼플모멘텀 임펄스와 균형복원 - 퍼플의 균형복원 트레이딩 목차 안녕하세요? 주식하는 개발자 퍼플입니다. 1. 공감하기 우리는 총 9회에 걸친 지표의 표준화 및 응용에 관한 주제를 다루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지표의 표준화를 활용한 상대적 척도의 중요성과 다양한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여러분들도 자신만의 아이디어를 접목한 표준화된 지표를 생성하고 이를 토대로 상대적 척도로서의 지표를 트레이딩에 적용하실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제가 퍼플지표를 개발하는 과정을 표준화 과정에 맞추어 설명드렸고 이제 그 마지막 시간이 도래했습니다. 오늘은 지표의 표준화를 통한 상대적 척도로서의 퍼플지표를 균형복원에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오늘 다룰 주제는 종목의 사계분석에서 균형복원의 과정까지 광범위합니다. 이미 다른 글에서 다룬 내용도 있으므로.. 2023. 8. 1. 지표의 표준화 9 : 상대적 척도의 MACD 연산결과는 ? (수식공개) - 퍼플의 균형복원 트레이딩 안녕하세요? 주식하는 개발자 퍼플입니다. 1. 공감하기 이전 글에서는 볼린저 밴드 연산을 활용하여 MFI 볼린저 밴드를 생성한 후 %b를 계산하고, 이렇게 계산된 %b를 %m이라고 정의한 뒤, 주가 볼린저 밴드의 %b와 단위를 통일하는 지표간의 표준화 규칙을 다뤘습니다. 그리고 이 아이디어는 퍼플 지표의 시작이었다는 말씀도 전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지표간의 표준화를 통해 생성된 %b와 %m의 지수 이동 평균을 구해서 MACD 연산을 통해 퍼플 지표가 생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 여러분께 공개한 퍼플 지표의 수식과 이해에 관한 내용은 채널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지표의 표준화 및 응용 시리즈를 통해서 여러분들도 자신만의 표준화된 지표를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합니다. 그러.. 2023. 7. 27. 상대적 척도, 지표의 표준화 8 : %b와 MFI의 표준화 ( 수식공개 ) - 퍼플의 균형복원 트레이딩 안녕하세요? 주식하는 개발자 퍼플입니다. 1. 공감하기 오늘은 볼린저 밴드 연산을 활용하여 MFI 볼린저 밴드를 생성한 후 %b를 계산하고자 합니다. 이렇게 계산된 %b를 일반적인 주가 볼린저 밴드의 %b와 구분하기 위해 %m이라고 정의하고, 주가 볼린저 밴드의 %b와 직접 비교할 수 있도록 해보려고 합니다. 기존의 볼린저 밴드 이론에 새로운 시각을 더한 이 분석법으로, 투자 전략에 차별화된 접근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 아이디어가 퍼플 지표의 시작이었습니다. 이미 여러분에게 공개한 퍼플 지표의 수식과 이해에 관한 내용은 블로그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마음을 모아 주식 투자 전략의 새로운 경지를 찾는 여정을 함께 해보겠습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더 깊은 투자 활동에 도움.. 2023. 7. 14. 지표의 표준화 7 : 주가 - 힘의 공식 ( 수식 공개 ) - 퍼플의 균형복원 트레이딩 안녕하세요? 주식하는 개발자 퍼플입니다. 오늘은 과학적인 원리를 주식 차트 분석에 적용해 보는 색다른 도전을 해보려고 합니다. 물리학의 기본 원리 중 하나인 힘의 공식이 주식 시장에서 어떤 도움이 될 수 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주식 차트 분석에 익숙한 시청자 분들도 이번 동영상을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기술적 지표를 바라볼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과학적 이론을 활용하여 시장의 흐름을 분석하고 새로운 지표를 표준화하여 상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함께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과학의 세계와 주식 시장이 만나는 이 흥미진진한 여행을 함께 떠나볼 준비가 되셨나요? 그럼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리고 오늘의 주제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1. 힘의 공식 힘의 공식은 F = m * a입니다. 여기서 F는 힘.. 2023. 7. 8. 지표의 표준화 6 : 절대지표 주가의 표준화 ( 수식 공개 ) - 퍼플의 균형복원 트레이딩 안녕하세요? 주식하는 개발자 퍼플입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절대지표인 주가의 표준화를 해볼 것입니다. 오늘도 역시 새로운 지표를 생성해볼건데요 오늘 표준화를 통해서 생성하는 지표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이격도와 아주 유사한 개념이지만 생성된 지표를 비교해보면 아주 다른 느낌을 받으실 것입니다. 이격도는 이동평균을 기준으로 이미 표준화된 상대적 척도로서의 자격을 갖춘지표입니다. 이격도 지표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주가와 이동평균선 사이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입니다. 이렇게 이격도 지표는 시장의 이격도와 종목의 이격도 또는 서로 다른 종목간의 이격을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상대적 척도로서의 지표가 가지는 가장 큰 역할인것이죠 오늘은 이격도 지표와 유사한 개념의 표준화를 사용하지만 확실히 .. 2023. 7. 5. 이전 1 2 3 4 5 ··· 11 다음